이 챕터에서는 NAND 플래시 메모리의 기본적인 내용과 셀 타입 그리고 SSD의 기본적인 내부 아키텍처에 대해서 살펴보고,추가로 SSD의 벤치마킹 방법과 벤치마킹 결과를 해석하는 부분도 살펴보도록 하겠다. 1. SSD의 구조 1.1. NAND
Introduction 현재 개발중인 Key/Value Store가SSD를 최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SSD의 내부적인 특성이나 작동 방식에 대해서 정확한 이해가 필요했다.인터넷에는 이미 많은 SSD 관련 자료들이 있지만, 대 부분은 부족하거나 잘못된 정보들이 많으며,
샤딩의 한계 카카오의 많은 서비스들이 데이터베이스로써 MySQL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서비스 규모가 커지면 대용량 분산을 위해 샤딩을 합니다. 카카오에서 많이 사용하는 샤딩 방법으로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range-based sharding modulus-based
“카카오의 오픈소스를 소개합니다” 다섯번째는 gordon.hahn과 동료들이 개발한 ADT – Almighty Data Trasmitter입니다. ADT는 샤드 구성이나 사딩 규칙이 바뀔 때 샤드를 재분배하는 용도로 만들기 시작했지만, MySQL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다른 MySQL로
루빅스는 실시간으로 사용자 반응을 분석하여 콘텐츠를 추천하는 카카오의 추천 시스템입니다. 2015년 5월에 다음 포털 뉴스 서비스의 일부 사용자를 대상으로 뉴스 기사를 추천하기 시작했고, 한달 뒤인 6월부터 전체 사용자에게 확대 적용했습니다.
Weekly Links에서는 지난 한 주, 카카오의 기술 블로그 담당자가 구독하는 기술 뉴스레터들에서 “인간의 눈”으로 선별한 링크들을 짧은 코멘트와 함께 공유합니다. 포함된 뉴스레터 목록은 awesome-tech-newsletters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16년 4월 넷째주
트래픽이 많은 웹 서비스를 운영하다보면 CPU는 여유가 있지만 웹서버가 응답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먹통이 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이 글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경우인 CLOSE_WAIT 상태를 재현하고 원인과 문제점
하나의 모바일 앱이 마켓에 출시되기까지는 수많은 빌드와 배포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더 자주, 더 빠르게, 더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빌드와 배포는 필수적입니다.카카오에는 모바일 앱을 지속적으로 통합(Continuous Integration)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