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카카오의 서비스를 만드는 개발자들의 실제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과 노하우를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Related Posts

카카오 코드 페스티벌 본선 이야기

드디어 본선의 막이 열렸습니다! 지난 9월 9일 토요일, 카카오 코드 페스티벌의 오프라인 본선이 진행됐습니다. 예선에서의 엄청난 경쟁률을 뚫고 당당히 본선에 진출한 100여명의 실력자들이 함께 했는데요. 합병 후 카카오의 첫 개발자

Parallel Programming and Applicative in Scala

Monolithic 아키텍쳐로 개발하기 Monolithic 아키텍쳐로 개발시에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저장소만 고려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Monolithic 아키텍쳐를 사용하면 편리한점이 많습니다. 코드가 한곳에 모여 있고 데이터가 한곳에 집중이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정규화

카카오 블라인드 신입 개발자 공채를 실시합니다!

2014년 합병 이후, 카카오의 첫 신입 개발자 공채가 시작됩니다. 학력, 전공무관! 웹, 모바일 서비스에 열정이 있다면 누구나 지원 가능한 카카오의 첫 ‘블라인드 신입 개발자 공채’! [2018 카카오 블라인드 신입 개발자

카카오 코드 페스티벌 예선전 이야기

함께 축제를 즐겨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지난 8월 5일 토요일, 카카오 코드 페스티벌의 온라인 예선이 개최되었습니다. 합병 후 카카오라는 이름으로 처음 열리는 개발자 행사인 만큼, 여러 카카오 크루들이 긴장되지만 신나는

kakao의 오픈소스 Ep7 – CMUX: CLI에 날개를 달자!

“카카오의 오픈소스를 소개합니다” 일곱 번째는 jon.kwon과 동료들이 개발한 CMUX입니다. CMUX는 Cloudera Manager 기반의 하둡 클러스터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대화형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 도구들을 제공합니다. CMUX의 아이디어를 참고해 보세요. 여러분의 커맨드라인에 날개를 달 수 있을 것입니다. 카카오의

오픈소스 간단 리뷰 – nomad : 가벼운 스케쥴러, 강력한 성능

Introduction 서비스 스케줄러는 클러스터 내의 컴퓨팅 리소스를 관리하고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어느 호스트에서 서비스할지 결정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입니다. 컨테이너 스케줄러로는 kubernetes나 docker swarm등이 있으며, 하둡 스케줄러로는 YARN이 많이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스케줄러 중 하나인 nomad를

대규모 분산 스토리지(Kage)의 발전과정

Overview 대부분의 초기 스타트업은 컨텐츠를 저장할 저장소에 대한 별다른 고민을 하지 않습니다. 여유가 있다면 NAS 장비를 구매해서 사용하고, 아니라면 NFS와 RAID를 구성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서비스가 점점 커짐에 따라 하루

RxJS – Daum영화에 적용하다

2016년 개편된 Daum영화 프론트엔드 개발에는 ReactiveX의 JavaScript 라이브러리 RxJS 4를 사용했습니다. ReactiveX는 ReactiveX Introduction에서 callback의 문제점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소개가 되어 있습니다. 웹에서는 Angular 2에 RxJS 5가 쓰이며 관심을 받았고, Android app개발에서도 RxJava가 여러 곳에 쓰이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