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서비스 스케줄러는 클러스터 내의 컴퓨팅 리소스를 관리하고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어느 호스트에서 서비스할지 결정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입니다. 컨테이너 스케줄러로는 kubernetes나 docker swarm등이 있으며, 하둡 스케줄러로는 YARN이 많이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스케줄러 중 하나인 nomad를
Overview 대부분의 초기 스타트업은 컨텐츠를 저장할 저장소에 대한 별다른 고민을 하지 않습니다. 여유가 있다면 NAS 장비를 구매해서 사용하고, 아니라면 NFS와 RAID를 구성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서비스가 점점 커짐에 따라 하루
2016년 개편된 Daum영화 프론트엔드 개발에는 ReactiveX의 JavaScript 라이브러리 RxJS 4를 사용했습니다. ReactiveX는 ReactiveX Introduction에서 callback의 문제점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소개가 되어 있습니다. 웹에서는 Angular 2에 RxJS 5가 쓰이며 관심을 받았고, Android app개발에서도 RxJava가 여러 곳에 쓰이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카카오의 오픈소스를 소개합니다” 여섯번째는 niko.bellic이 개발한 Cite입니다. Cite는 Container as a Service(CaaS)로서 소스코드를 빌드하고 배포하며 운영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하는 웹 서비스입니다. Introduction Cite는 google kubernetes기반 CaaS(Container as a Service)입니다.
KEMI(Kakao Event Metering & monItoring)는 카카오의 전사 리소스 모니터링 시스템 입니다.서버, 컨테이너와 같은 리소스의 메트릭 데이터를 수집해서 보여주고 설정한 임계치에 따라 알림을 보내주는 KEMI-STATS과 ETL을 통해 수집한 log를 대시보드 형태로
어쩌다보니 키스톤! 지난 8월 13일(토)부터 이틀간 코엑스 그랜드에서 열렸던 PyCon 2016 APAC에서 카카오 부스를 지켰던 iolo.fitzowen 입니다. 키스톤 스폰서 자격으로 행사장에서 가장 큰 부스를 운영하게되었는데, 거대한 부스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오랫동안 고민했습니다. 어쩌다보니 가위바위보!
이번 챕터에서는 지금까지 언급했던 내용들을 간략히 요약해서 정리해 보았다.조금 더 상세한 내용을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각 내용들은 다른 파티의 한두개 이상의 섹션을 나열해 두었다. SSD 기본 1. 메모리 셀
지금까지 SSD 드라이브의 내부적인 작동 방식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또한 SSD를 접근할 때 어떤 방식이 사용되어야 하며, 그리고 그 접근 방법이 다른 방법보다 왜 나은지 등의 이해를 돕는 자료들도 제공했다.이번 챕터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