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카카오의 서비스를 만드는 개발자들의 실제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과 노하우를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Related Posts

루빅스(RUBICS) – kakao의 실시간 추천 시스템

루빅스는 실시간으로 사용자 반응을 분석하여 콘텐츠를 추천하는 카카오의 추천 시스템입니다. 2015년 5월에 다음 포털 뉴스 서비스의 일부 사용자를 대상으로 뉴스 기사를 추천하기 시작했고, 한달 뒤인 6월부터 전체 사용자에게 확대 적용했습니다.

Weekly Links #2 – 2016년 4월 넷째주

Weekly Links에서는 지난 한 주, 카카오의 기술 블로그 담당자가 구독하는 기술 뉴스레터들에서 “인간의 눈”으로 선별한 링크들을 짧은 코멘트와 함께 공유합니다. 포함된 뉴스레터 목록은 awesome-tech-newsletters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16년 4월 넷째주

CLOSE_WAIT & TIME_WAIT 최종 분석

트래픽이 많은 웹 서비스를 운영하다보면 CPU는 여유가 있지만 웹서버가 응답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먹통이 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이 글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경우인 CLOSE_WAIT 상태를 재현하고 원인과 문제점

모빌(MoBiL) – kakao의 모바일앱 CI/CD 플랫폼

하나의 모바일 앱이 마켓에 출시되기까지는 수많은 빌드와 배포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더 자주, 더 빠르게, 더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빌드와 배포는 필수적입니다.카카오에는 모바일 앱을 지속적으로 통합(Continuous Integration)하고

MySQL InnoDB의 Adaptive Hash Index 활용

개요 MySQL의 InnoDB에는 Adaptive Hash Index 기능이 있는데, 어떤 상황에서 효과가 있고 사용 시 반드시 주의를 해야할 점에 대해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InnoDB B-Tree 인덱스 MySQL의 InnoDB의 대표적인 인덱스는 B-Tree입니다. 데이터는 Primary Key 순으로 정렬되어

Weekly Links #1 – 2016년 4월 첫째주

Weekly Links에서는 지난 한 주, 카카오의 기술 블로그 담당자가 구독하는 기술 뉴스레터들에서 “인간의 눈”으로 선별한 링크들을 짧은 코멘트와 함께 공유합니다. 포함된 뉴스레터 목록은 awesome-tech-newsletters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16년 4월 첫째주 추천

kakao의 오픈소스 Ep4 – HBase Tools

  “카카오의 오픈소스를 소개합니다” 네번째는 terence.yoo와 동료들이 개발한 HBase Tools입니다. [HBase Tools]는 카카오에서 대규모 HBase 클러스터를 운영하면서 만들어진 도구들을 하나로 묶은 것입니다.​ HBase 주요 버전별 빌드를 제공하고 있어서 가져도 쓰기도

DNS 기반의 Redis HA 구현

이번 글에서는 DNS 기반의 Redis HA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DNS TTL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이용해서 Redis HA를 구현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도메인의 TTL 먼저 도메인의 TTL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TTL은 Time To Live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