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픈소스 기술파트에서 근무하고 있는 rogers라고 합니다. 오픈소스 기술파트에서는 오픈소스 관리 서비스인 OLIVE Platform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더 많은 사용자에게 OLIVE Platform을 제공하기 위해 구글, 깃허브, 페이스북 소셜로그인을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광고추천팀에서 데이터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 cory 입니다. 저는 광고추천팀에서 카프카(Kafka) 기반 스트림 데이터 플랫폼을 개발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광고추천팀에서는 노출(impression), 클릭(click), 전환(conversion) 등의 광고 로그 데이터를 원천 데이터라고
안녕하세요, 카카오 비즈 FE 파트에서 광고 SDK의 개발을 맡고 있는 Jake입니다. Promise는 비동기 상태를 값으로 취급하여 다양한 연산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바스크립트 객체입니다. 광고 SDK에서도 광고의 렌더링을 위해 Promise를
내용 12.20(화)~23(금)에 진행된 한국소프트웨어종합학술대회 (KSC2022)에 카카오는 후원과 함께 개발자 간 기술교류를 위한 초청 강연과 Kakao Tech Workshop, 그리고 기술/영입 부스를 진행하였습니다. 행사장에 참여하지 못한 분들에게 참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행사 정보
소개 안녕하세요 빅데이터플랫폼파트1셀에서 근무하고 있는 koodin입니다. 어느덧 카카오와 함께한 지 2년이 훨씬 지났는데요, 그동안 상용 하둡 플랫폼에서 카카오 하둡 플랫폼(KHP)으로의 전환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여기에서는 대규모 데이터 이관을 더 쉽고
앞선 1부에서는 KHP 시스템이 모니터링 체계의 데이터 기반이 되는 메트릭과 로그를 어떻게 수집 및 저장하고 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로써 카카오에서 운영 중인 클러스터들의 현황을 메트릭 기반의 대시보드와 로그 검색
카카오에서는 100개가 넘는 클러스터를 모니터링하고 장애 시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오픈소스와 자체 제작한 기능을 종합한 모니터링 및 알림 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KHP 모니터링과 알림 시리즈는 개발진이 모니터링을 구축하기 위해서
안녕하세요. 테크블로그로 만나뵙게 되어서 반갑습니다. 저는 “데이터연구실>응용분석팀”의 dingo.kim이라고 합니다. 카카오에서 일한 지는 이제 막 1년이 지났고요, 입사한 거의 직후부터 팀 내 프로젝트인 “AAAP”의 주요 기여자로 활동해오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의 주제가